트리코모나스의 감염 원인 과 증상
트리코모나스 감염이란?
트리코모나스 감염은 성병 중 하나로,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입니다. 이 감염은 트리코모나스 원충이라는 원생 동물인 트리코모나스 원충에 의해 발생합니다.
트리코모나스 원충은 주로 질 분비물이나 요도 분비물을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감염된 사람과 성 접촉할 경우, 원충이 상대방의 생식기로 전달됩니다.
증상
트리코모나스 감염은 주로 증상을 보이지 않거나 경미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어느정도 진행된 사람은 질 분비물의 변화, 소변할 때 불편감, 가려움증, 발기 부전 등의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트리코모나스 감염은 조기에 발견되고 치료되어야 합니다. 만약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의사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조치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안전한 성 관계를 유지하고 콘돔 사용을 권장하여 성병 전파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여성의 증상
- 질 분비물의 변화: 투명하거나 흰색이며 거품이 많은 질 분비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 질 가려움 혹은 화끈거림: 외음부나 질 입구 주변에서 가려움이나 화끈거림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소변할 때 불편감: 소변할 때 불편함이나 자극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성행위 동안 통증: 성관계 동안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남성의 증상
- 발기 부전: 성적인 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발기 부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소변할 때 불편감: 소변을 보낼 때 불편함이나 자극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소변이나 음뇨관 분비물: 소변이 흐리거나 끈적거리며, 음뇨관에서 분비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감염원인
트리코모나스 감염은 감염된 파트너와의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되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의사를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전하지 않은 성 관계, 파트너의 감염 여부를 모르는 경우,콘돔 미사용등은 감염의 원인이 되면 큰 위험 요소로 작용합니다.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진단방법
질 분비물, 요도 분비물, 소변 등의 채취 및 현미경 검사를 통해 트리코모나스 원충을 확인하기 분비물에서 원충을 직접 확인합니다. 균 도말 검사는 원충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어 80~90%의 진단률을 보여줍니다.
치료
- 트리코모나스 감염은 항생제 치료로 치료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을 쓰이는 항생제는 메트로니이다졸 (Metronidazole)입니다.
치료를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
치료를 제때 하지 않으면 원충이 다른 장기에 까지 퍼지게 되어 남성의 경우 불임의 가능성이 있고 전립선염,요도염,부고환염,요도 협착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HIV 감염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합니다.
감염예방방법
:1. 안전한 성 관계 유지
감염 가능성이 있는 파트너와의 안전한 성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파트너의 성 건강 상태를 알아보고, 성병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2. 콘돔 사용
성관계 시 콘돔을 사용하는 것은 성병 전파를 예방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올바르게 사용하고 정기적으로 교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 정기적인 성 건강 검진
정기적으로 성 건강 검진을 받는 것은 성병의 조기 발견과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의사의 권장에 따라 정기적인 검진을 받으세요.
4. 성 파트너의 감염 여부 확인
새로운 성 파트너와의 관계에서는 상호 감염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호간에 성병 검사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5. 개인 위생 철저
- 개인 위생에 신경을 쓰는 것도 중요합니다. 깨끗한 속옷을 착용하고, 정기적인 샤워는 세균 번식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6. 성교육 및 정보 습득
정확한 성교육을 받고, 성병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신뢰할 수 있는 정보원에서 성병 예방에 대한 지침을 찾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마무리하며
트리코모나스 감염은 예방 가능한 성병 중 하나입니다. 안전한 성 관계 유지, 콘돔 사용, 정기적인 성 건강 검진 등을 통해 성병 전파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의사와 상담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예방 전략을 마련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병,상해 > 의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적 항암 치료가 가능한 질병을 알아보자 (3) | 2023.11.20 |
---|---|
마이코플라스마폐렴(Mycoplasma pneumoniea)예방과 치료 (4) | 2023.11.17 |
골밀도의 측정방법,정상범위,측정이유 (5) | 2023.11.16 |
슈도모나스(pseudomonas) 와 녹농균의 차이 (3) | 2023.11.14 |
피부암 흑색종의 초기증상과 진단법 (9) | 2023.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