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상해/의학사전

표적 항암 치료가 가능한 질병을 알아보자

by 트라우마 2023. 11. 20.
반응형

표적 항암 치료가 가능한 질병을 알아보자!!

 

 

표적항암이란?

암 세포 내에 특정한 변화가 있는 부분을 겨냥하여 암 세포를 공격하는 치료법 입니다. 이는 일반적인 항암 치료인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와는 다른 접근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표적 항암제는 암세포나 암조직에만 생기는 특정 단백질이나 특정 유전자 변화를 공격해 암의 성장과 암 발생 활동을 방해하여 암이 자라는 것을 억제하는 약입니다.

 

표적항암 치료란?

암 세포의 특정한 변화를 이용하여 암 세포를 공격하고, 정상 세포에는 최소한의 미칩니다. 가족 중에 암 환자가 있어 일반 화학적 항암을 해보신 분들은 알겁니다. 항암 회차가 높가 갈수록 부작용이 점점 생기면서 온몸이 부워가고 면역력 자체가 떨어지는 것을 경험해 보셨을 꺼라 생각합니다. 암 세포는 특정 유전자 변이나, 단백질 과다 생산 또는 세포의 과증식과 같은 변화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표적으로 삼아 치료 하는 것이 표적 항암 치료입니다.

표적항암 치료가 가능한 질병

1. 유방암

유방암은 헤르2(neu)양성 종양에 대한 표적항암 치료가 가능 합니다. 

2.폐암

폐암에서는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변이 양성 종양에 대한 표적 항암 치료가 가능합니다.

3.대장암

대장암에서는 RAS 변이 양성 종양에 대한 표적항암 치료가 가능합니다.

4.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만성 골수성 백혈병에서는 BCR-ABL 양성 종양에대한 표적 항암 치료가 가능 합니다. 

5.피부암(악성 흑색종)

악성 측색종에서는 BRAF 양성 종양에 대한 표적 항암 치료가 가능합니다.

이외에도 신장암,방광암,뇌종양,간암,췌장암등에도 표적 항암 치료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표적항암의 기전

1.항체 치료

항체는 특벙한 단백질이나 수용체에 결합하여 암 세포를 공격하는데 사용됩니다. 항체 치료는 항체와 결합한 약물을 암 세포로 운반하여 표적 부분에 직접 작용하거나 면역 시스템을 자극하여 암 세포를 파괴하는 방식으로 작용 합니다.

 

2.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

티로신 키나아제는 세포 내에서 신호 전달을 조절하는 효소로 암 세포에서 과도하게 활성화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는 이 효소의 작용을 억제 하여 암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억제 합니다.

 

3.유전자 변이 억제제

암 세포는 종종 특정한 유전자 변이를 가지고 있어 비정상적인 세포 성장을 유발 합니다. 유전자 변이 억제제는 이러한 비정상적인 유전자 변이를 표적으로 억제하여 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 합니다.

표적 항암 치료의 부작용

일반적인 화학 항암요법 보다 부작용이 적을 수 있지만. 부작용이 완전하게 없는 것은 아닙니다.

피부건조,발진,가려움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고, 위 장관의 문제가 발생하여 메스꺼움,구토,설사,복통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혈액 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어 혈소판 수가 감소하여 혈전 혹은 출혈의 위험이 있습니다. 표적 항암도 항암 치료기 때문에 환자가 피곤해 하거나 불안해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간 기능에 영향을 주어 간 손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부 표적 항암 치료에서 부정맥,심부전과 같은 부작용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마무리 하며

표적 항암 치료는 심각한 부작용을 드물지만 부작용이 없을 순 없습니다. 그리고 일반 화학적 항암 요법 보다는 비용도 비싸구요. 항암 요법을 할때는 항암제 맞는 시간이 엄청나게 깁니다. 거의 하루 종일 약을 주입해야 해서 환자들이 많이 불편해 할 수 있습니다. 환자 본인이 제일 힘들 겁니다. 이에 심리안정을 가질 수 있게 정신적이 지지도 많이 해주시고 의료진과의 소통을 통해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져하 할 것 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