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통,치통,생리통에 게보린이라는 광고를 많이 보셨을 겁니다. 그만큼 진통제로 널리 쓰이고 있는데요. 약국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고 효과도 빨라 사람들이 많이 찾는 진통제이기도 하지요. 모든 약이 그렇듯 체질에 따라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오늘은 게보린을 먹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알레르기 증상과 주의해야 할 사항 그리고 게보린 대신 복용할 수 있는 진통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게보린은 어떤 성분인가?
1)주요성분
복합진통제로써 아래 내용을 참고하면 좋겠네요.
- 이소프로필안티피린-해열 및 진통작용
- 케페인무수물-중추신경 자극을 하여 통증을 줄임
- 아세트아미노펜- 타이레놀에 주 성분으로 많이 쓰이는 진통 해열 성분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아소프로필안티피린이라는 피린 계열의 성분입니다. 이 성분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요.
2.게보린의 알레르기 증상
1)일반적인 알레르기 증상
신체가 피린 계열 성분에 반응할 경우 피부발진, 두드러기, 가려움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보통 전조증상으로 입술이 붓고 눈이 붓는 경우가 많은데요. 알레르기 특유의 증상인 쌕쌕 거리는 숨소리가 날 수 있답니다. 심한 사람들은 속이 메스껍거나 토를 할 수 있고 아나필라틱 쇽이 발생한다면 빨리 병원을 가야 합니다.
2)응급 상황인 경우
피부 증상이 나타나면서 호흡곤란이나 의식이 혼미진다던지, 아니면 혈압이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아나필라틱 쇽이 제대로 온것이기 때문에 119 불러서 응급실로 가서 응급 처치를 받아야 합니다.
3.이런 경우에는 게보린 복용을 피하세요.
- 판피린 같은 피린계열의 성분이 들어 있는 약을 먹고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던 경우,
- 천식,비염,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을 앓았던 병력이 있는 경우
-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심한경우
만약에 이런 경험이 있었다면 병원이나 약국에서 진통제를 처방 받거나 사야 할 때 꼭 알려야 합니다. 이런 경우 복합성분이 들어 있는 진통제 보다는 단일 계열 성분으로 만들어진 진통제가 더 안전할 수 있습니다.
4.대체 가능한 진통제 종류
1)아세트아미노펜 단일 성분의 약
다른 성분이 없고 아세트아미노펜만 포함되어 있는 타이레놀이 상대적으로 알레르기 발생률이 낮아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용량을 오래 먹으면 간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에 포장에 적혀 있는데 용량을 꼭 지켜 드셔야 합니다.
2)이부프로펜 계열 약
이부프로펜도 진통제로 널리 쓰이는 성분입니다. 진통,해열,소염 작용을 하는 약물이기도 하지요. 빈속에 먹으면 속이 쓰릴 수 있으니 꼭 식후에 복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마치며
게보린,펜잘,판피린 등은 약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의약품이지만 모든 사람이 다 잘 받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피린계 성분에 민감한 사람들은 매우 조심해야 합니다. 그래서 꼭 자신의 몸 상태를 알고 있어야 하고 모르고 먹었는데 부작용이 발생한다면 지체없이 병원을 방문하여 알레르기 반응이 더 진행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필요하다면 알레르기 검사를 하여 좀 더 안전하게 약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네요.
'질병,상해 > 약,영양제 정보.영양소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향이 피로와 근육회복에 도움이 되는 이유 (1) | 2025.05.17 |
---|---|
칼슘과 비타민D 꼭 챙겨야 하는 이유와 뼈 건강 부터 흡수율을 높이는 방법 (3) | 2025.05.07 |
아스타잔틴 왜 눈에 좋다고 할까? (2) | 2025.03.26 |
아연이 많은 음식과 흡수율을 높이는 방법 (12) | 2025.03.07 |
뇌건강에 도움되는 필수 영양성분 (1)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