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 병 정확히 알고 대비하자!
손이 떨리고 움직임이 느려지는 파킨슨 병은 나이가 들수록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증상이 천천히 진행되는데 생활하는데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주요 증상 4가지를 알아두면 대처하기 좋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핵심 증상 4가지를 알아볼께요.
1.파킨슨 병이란?
뇌에서 도파민을 만들어 내는 세포가 점점 기능을 잃으면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이 도파민이 줄어들게 되면 몸을 움직이는 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주로 60대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요즘은 젊은 층에서 발해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대표적으로 노화로 인해 뇌 신경 변화나 유적적인 요인 그리고 여러가지 환경적인 영향을 받아 복합적으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4대 증상
1) resting tremor (가만히 있을 때 떨림)
긴장이 풀린 상태에서 손발이 떨리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활동 중에는 좀 덜한 편이나 쉬고 있을 때는 떨림이 뚜렸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보통 한 손이나 발에서 시작을 하여 점점 반대편으로 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2) rigidity(근육 강직)
팔, 다리 근육이 굳어져 자유럽게 움직이기 어려워 집니다. 톱니바퀴 처럼 걸리는 느낌이 든다고 하여 톱니바퀴 현상이 나타나는데 씻을 때나 옷 입을 때 버거워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3) bradykinesia(동작이 느림)
몸의 움직임이 전반적으로 느려지는 증사이 보이고 걸음이 짧고 발을 떠기 어려워 합니다. 표정 근육도 굳기 때문에 가면 얼굴이라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이 증상을 파킨슨 병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positural instability( 자세 불안정)
중심을 잘 잡지 못하기 때문에 자주 넘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가만히 있어도 뒤로 넘어 갈듯 흔들립니다. 초기에는 인지를 잘 못하다가 시간이 지날 수록 심해지는 양상이라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어떻게 관리 해야 할까?
아직 완치되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치료의 핵심은 증상을 완화 시키고 진행을 더디게 만드는 것입니다. 손과 발의 떨림이나 근육의 경직을 느낀다면 신경과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물리치료나 재활치료도 중요한데요. 근육이 굳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걷기 운동을 하거나 스트레칭을 병행하면서 근육을 풀고 균형 감각을 유지하는데 신경을 써야 합니다.
다른 관리 방법으로는 도파민을 보충할 수 있는 약물을 이용해 떨림과 강직 증상을 줄이기도 하고 스트레스를 잘 관리해 주고 무리 하지 않고 충분하게 쉬는 것이 좋습니다. 잠을 잘 자야 몸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기 때문에 숙면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치며
움직임이 둔해지고 떨림이나 균형 장애가 나타나는 것을 최대한 늦추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합니다. 파킨슨 병이 심해지면 생활하는데 상당히 불편하기 때문에 위에 언급한 4가지 대표 증상을 미리 알고 빨리 대처를 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환자 본인 뿐 아니라 주변 가족들도 관심을 가지고 증상이 나타는지 살펴 봐야 합니다. 아직 완치 될 수 있는 방법이 없지만 꾸준한 관리와 약물 치료를 병행하면서 일상 생활을 유지 하는 것이 삶의 질을 높이는 것입니다. 혹시 이상한 변화가 감지되다면 빨리 전문 기관을 찾아 가는 것이 어떨 가요?
'질병,상해 >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강 건강과 당뇨병의 연관성 (3) | 2025.04.11 |
---|---|
태아가 크면 임신성 당뇨일까? (3) | 2025.04.07 |
장염 회복에 도움이 되는 음식과 피해야 할 음식 (5) | 2025.03.01 |
단백뇨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방법 (2) | 2025.02.05 |
갑상선기능저하증 증상과 효과적인 영양제 추천 5가지 (1) | 2025.01.23 |